SNS 계정 삭제 vs 보존, 유족의 선택과 법적 책임
🧾 1. SNS 계정, 단순한 기록인가? 디지털 유산의 정체성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현 X), 틱톡 등 SNS는 단순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넘어, 개인의 삶과 감정, 관계, 사상, 추억이 고스란히 담긴 디지털 자아라고 할 수 있다. 과거에는 유산이라 하면 재산·문서·부동산 같은 물리적 자산을 의미했지만, 오늘날에는 SNS 계정 또한 고인의 존재를 상징하는 디지털 유산으로 여겨진다.특히 SNS는 고인이 남긴 사진, 영상, 글, 댓글, 팔로우 목록까지 모두 고인의 생애 일부로 해석될 수 있다. 일부 가족은 이를 ‘기억의 공간’이라 여기고 보존을 원하며, 반대로 어떤 유족은 계정을 삭제하고 사생활 노출을 막거나 심리적 정리를 원하기도 한다.즉, 삭제와 보존을 둘러싼 유족의 입장 차이는 단순한 감정이 ..
2025. 4. 13.
디지털 유산은 상속 대상인가? 민법으로 본 해석
📘 1. 디지털 유산이란 무엇인가? 개념 정리부터디지털 유산(Digital Legacy)은 사용자가 생전에 생성하고 저장한 디지털 자산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이메일, 사진, 영상, 클라우드 파일, SNS 계정, 블로그, 가상화폐, 온라인 게임 아이템, 도메인 주소 등 인터넷 환경에서 생성된 거의 모든 형태의 콘텐츠와 데이터가 포함된다. 최근에는 NFT나 암호화폐와 같이 경제적 가치가 있는 디지털 자산도 널리 활용되며, 디지털 유산의 범위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하지만 기존 법체계에서는 이와 같은 디지털 자산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도 법적 정의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 역시 마찬가지로, 민법상 상속 대상이 되는 ‘재산’의 범주 안에 디지털 유산이 포함되는지에 대한 기준이 모호..
2025. 4. 13.